뇌전증은 뇌 신경세포가 비정상적으로 흥분하여 반복적인 발작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.
수면 부족, 과음, 특정 약물 복용 등 특별한 원인 없이 발작이 2회 이상 반복되면 뇌전증으로 진단됩니다. 뇌전증의 원인은 다양하며, 대표적으로 뇌손상, 뇌종양, 뇌경색, 뇌염, 뇌혈관 기형 등이 있습니다.
하지만 전체 환자의 약 50%는 명확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기도 합니다.
전 세계적으로 약 6,500만 명의 뇌전증 환자가 있으며, 우리나라에는 약 36만 명의 환자가 있고
매년 2만 명 이상의 새로운 뇌전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
뇌전증 발작은 뇌의 전기적 신호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다양한 신체적ㆍ인지적 증상을 유발합니다.
같은 뇌전증이라도 개인마다 증상이 다르고, 갑자기 발생하여 예측하기 어렵습니다.
보통 10초~1분 정도 지속되며, 회복까지 수초~수 시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.
보통 10초~1분 정도 지속되며, 회복까지 수초~수 시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.
부분 발작(국소 발작) 뇌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하는 발작 |
|
---|---|
단순 부분 발작 | 의식이 유지된 채 신체 일부가 경련하거나 감각이 변함 |
복합 부분 발작 | 의식이 흐려지며 반복적인 움직임 (예: 손을 비비는 동작)이 나타남 |
이차적 전신 발작 | 부분 발작이 뇌 전체로 퍼지면서 전신 발작으로 진행됨 |
전신 발작 뇌 전체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발작 |
|
---|---|
전신 강직 간대 발작(대발작) |
온몸이 경직되고(강직기) 이후 몸이 격렬하게 떨림(간대기) |
결신 발작(소발작) | 몇 초간 멍해지거나 반응이 없음 |
근간대 발작 | 신체 일부가 순간적으로 떨리거나 움찔거림 |
- 이유 없이 불안하거나 공포감을 느낌
- 이상한 냄새, 소리를 감지함(환각)
- 몸 일부가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짐
- 일시적인 혼동, 기억상실, 어지러움, 피로감 발생
- 두통, 근육통, 구역질 등이 동반될 수 있음
① 나이에 따라 원인이 다릅니다 |
---|
|
② 후천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|
뇌 감염(뇌수막염, 뇌염) 대사성 질환 |
가족력이 있는 경우, 그러나 대부분 유전되지 않음 |
뇌전증 환자의 60~70%는 항경련제로 발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약물의 효과는 환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, 정기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합니다.
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**난치성 뇌전증(30~40%)**의 경우, 뇌전증 초점 절제술 등의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미주신경자극술(VNS): 경부에 장치를 삽입하여 신경 자극을 통해 발작을 감소시킴
강남베드로병원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개별 맞춤 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
뇌전증이 의심된다면,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