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, 3개월 기준으로 급성 위염과 만성 위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우리나라 사람들은 크게 세 가지 위염을 자주 겪습니다. 표재성 위염은 위내시경 검사상 위 표면에 불규칙하게 발적이 있거나 손톱으로 긁은 듯한 붉은 줄이
빗살 모양으로 나있는 경우를 말합니다. 위축성 위염은 위의 염증이 오래 지속돼 혈관이 보일 정도로 위 점막이 얇아진 경우를 말하며, 마지막으로 화생성
위염은 위 점막이 오랫동안 자극을 받아 위 점막이 원래 모습을 잃고 소장 점막이나 대장 점막 모양으로 모양이 변한 경우를 일컫습니다.
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. 일반적으로는 많이 먹거나 급하게 먹는 경우, 특정 음식(특히 매운 음식, 커피 등)을 먹었을 때 위장에 염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(헬리코박터균)의 감염에 의해, 진통제, 소염제, 아스피린 등 약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명치 부위의 갑작스러운 통증, 구역질, 구토 등이 발생합니다.
아무런 증상이 없기도 하며 소화불량, 복부 팽만감, 구역질, 속 쓰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위염은 그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합니다. 흔히 위의 산도를 떨어뜨리는 약제, 위장관 운동 조절제 방어인자 증강제를 많이 사용합니다.
위의 산도를 떨어뜨리는 약제가 많이 처방되고 있습니다. 제산제, H2 수용체 길항제 및 양자펌프 억제제가 있습니다.
조기 포만감이나 식후 팽만감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추가적으로 위장관 운동 조절제를 사용합니다.
이외에도 위 점막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인자 증강제를 함께 처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